', { cookie_domain: 'auto', cookie_flags: 'max-age=0;domain=.tistory.com', cookie_expires: 7 * 24 * 60 * 60 // 7 days, in seconds }); 기본간호 핵심술기 활력징후 선행지식
본문 바로가기

핵심술기/선행지식

기본간호 핵심술기 활력징후 선행지식

- 성취목표

  • 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.
  • 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.
  • 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의 측정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.

1. 성인의 경우 활력징후의 정상범위

① 혈압

범주 수축기압(mmHg)   이완기압(mmHg)
정상 < 120 그리고 <80
전고혈압 120 ~ 139 또는 80 ~89
고혈압 1단계 140 ~ 159 또는 90~99
고혈압 2단계 > 160 또는 > 100

② 체온: 36.5~37 °C

③ 맥박: 60~100 회/분

④ 호흡: 12~20 회/분

 

2. 체온, 맥박, 호흡,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
① 혈압

  • 연령: 나이가 증가할수록 올라가는 경향. 노인은 혈관 탄력성의 감소로 수축기압 상승
  • 성별: 사춘기 이후 여성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같은 연령대의 남성보다 혈압이 낮음. 폐경 이후 이전보다 혈압이 높음
  • 운동: 신체적 운동은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킴
  • 스트레스, 통증, 발열: 교감신경계 흥분시켜 심박출량 증가하여 혈압 상승
  • 이른 아침 혈압이 낮고, 이후 상승하여 늦은 오후나 초저녁에 최고가 됨
  • 체중: 비만은 고혈압을 초래함
  • 흡연: 혈관수축을 초래하여 혈관이 좁아져 혈압 상승
  • 약물: 항고혈압제, 마약성 진통제, 마취제 -> 혈압 저하 / 혈관수축제, 정맥수액 -> 혈압 상승
  • 출혈: 혈액량 감소로 혈압 저하
  • 체위변경: 누운 자세에서 급격하게 서는 자세로 변경하면 혈액량이 줄어들어 혈압 저하

② 맥박

  • 연령: 나이가 증가할수록 맥박 감소
  • 성별: 사춘기 이후 맥박수 여성 > 남성
  • 운동: 단기간의 운동 -> 맥박 증가 / 장기간의 운동(운동선수) -> 심근 강화, 맥박 감소
  • 발열: 말초혈관 이완시켜 혈압 떨어져 맥박수 증가
  • 약물: 에피네프린 -> 심박동수 증가 / digitalis, 베타 교감신경차단제 -> 심박동수 감소
  • 출혈: 보상작용으로 맥박 증가
  • 스트레스: 심박동수 증가
  • 체위: 앉아있거나 서있는 자세는 중력의 힘을 받는 정맥에 혈액이 모이게 됨. 이러한 정맥울혈은 일시적으로 정맥귀환혈량을 감소시켜 이차적으로 혈압 감소와 맥박 증가

③ 호흡

  • 연령: 영아기~성인기는 폐용량 증가, 호흡수 감소 / 노인은 폐용량 저하, 호흡수 증가
  • 운동: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위해 호흡수와 깊이 증가
  • 통증: 호흡수와 리듬을 변화시킴. 얕은 호흡, 흉부 및 복부 통증은 흉벽의 움직임을 방해
  • 불안: 교감신경 자극으로 호흡수와 깊이 증가
  • 흡연: 만성 흡연자의 경우 기도 변화로 인해 호흡수 증가
  • 체위: 똑바로 선 자세 -> 흉곽을 완전히 팽창 / 웅크린 자세 -> 흉곽의 움직임 방해 / 똑바로 누운 자세 -> 흉곽의 완전한 팽창 방해
  • 약물: 마약성 진통제, 전신마취제, 진정제 -> 호흡수와 깊이 감소 / 암페타민, 코카인 -> 호흡수와 깊이 증가 / 기관지확장제 -> 기도확장, 호흡수 감소
  • 신경계 손상: 뇌간의 손상은 호흡중추에 영향을 미쳐 호흡수와 리듬을 방해
  • 혈색소: 혈색소의 감소 ->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 감소시켜 호흡수 증가 / 높은 고도 -> 산화된 혈색소 감소로 호흡수와 깊이 증가 / 혈색소의 산소운반 능력 감소 -> 호흡수와 깊이 증가

④ 체온

  • 연령: 노인은 피하지방 소실, 활동부족, 열조질 기능의 효율성 감소 등으로 저체온의 위험 있음
  • 일주기성 변동(circadian rhythms): 체온은 하루 동안 약 0.5~1 °C 정도 변화. 오후 4~6시: 체온 가장 높음 / 새벽 4~6시: 체온 가장 낮음
  • 운동: 근육활동을 통해 열생산량을 증가시켜 체온 상승
  • 호르몬: 여성의 경우 배란기에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로 체온 상승(0.3~0.6 °C)
  • 스트레스: 교감신경자극은 대사율과 열생산 상승

3. 맥박 측정 부위

① 측두동맥(temporal artery)

② 경동맥(carotid artery)

③ 심첨(apex)

④ 상완동맥(brachial artery)

⑤ 요골동맥(radial artery)

⑥ 척골동맥(ulnar artery)

⑦ 대퇴동맥(femoral artery)

⑧ 슬와동맥(popliteal artery)

⑨ 후경골동맥(posterior tibial artery)

⑩ 족배동맥(dorsalis pedis artery)


"); wcs_do();